재배의 정석

재배의 정석

주의해야하는 식물 병해

노균병(잎줄기)

​병명 : 노균병

영문명 : Downy mildew

대상식물 : 갓, 배추, 상추, 시금치, 청경채, 파



노균병 ( 갓 )

발생환경
○ 묘상에서 발생하면 피해가 아주 크지만 생육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다가 생육후기에 저온, 다습하면 하엽부터 발생한다.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에서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나고, 다시 발아하여 기주를 침입한 다음, 잎 뒷면에서 다량의 포자낭을 형성하여 공기중으로 쉽게 전반된다.
○ 병원균은 잎의 기공이나 수공으로 침입하여 세포간극에서 증식하며, 흡기를 내어 주변세포의 영양을 흡수한다.
○ 수분과 온도가 병원균의 증식과 전반 및 침입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는 3~4시간 안에 포자가 발아하여 식물체를 침입하고, 4~5일내에 새로운 작물을 침해한다.
○ 밤 온도가 8~16℃, 낮 온도는 24℃이하일 때 발병 최적조건이 되며, 오전 10시까지 잎에 이슬이 맺혀 있는 기간이 3~4일 지속되면 심하게 발생된다.

증상설명
○ 잎의 초기에는 연한 황색의 작은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고, 잎 뒷면에 하얀 곰팡이가 다량 형성된다.
○ 유묘기에 발생하면 잎은 쉽게 떨어지며, 묘 전체가 죽는다.
○ 생육후기에 감염된 잎은 떨어지지 않고, 작은 병반들이 합쳐져 잎 전체가 황록색 내지 황갈색으로 변하고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건전토양을 상토로 이용한다.
○ 병든 식물체는 모아서 불에 태우고, 항상 포장을 청결히 한다.
○ 환기를 잘하여 잎에 물방울이 맺혀 있지 않도록 관리한다.



노균병 ( 배추 )

발생환경
○ 묘상에서 발생하면 피해가 아주 크지만 생육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다가 생육 후기에 저온, 다습하면 하엽부터 발생한다.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에서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내고, 이듬 해에 다시 발아하여 기주를 침입한 다음, 잎 뒷면에서 다량의 포자낭을 형성하여 공기중으로 쉽게 전반된다.
○ 병원균은 잎의 기공이나 수공으로 침입하여 세포간극에서 증식하며, 흡기를 내어 주변세포의 영양을 흡수한다.
○ 수분과 온도가 병원균의 증식과 전반 및 침입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는 3~4시간 안에 포자가 발아하여 식물체를 침입하고, 4~5일내에 새로운 작물을 침해한다.
○ 밤 온도가 8~16℃, 낮 온도는 24℃ 이하일 때 발병 최적조건이 되며, 오전 10시까지 잎에 이슬이 맺혀 있는 기간이 3~4일 지속되면 심하게 발생된다.

증상설명
○ 잎에 초기에는 연한 황색의 작은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고, 잎 뒷면에 하얀 곰팡이가 다량 형성된다.
○ 유묘기에 발생하면 잎은 쉽게 떨어지며, 묘 전체가 죽지만 생육 후기에 감염된 잎은 떨어지지 않고 작은 병반들이 합쳐져 잎 전체가 황록색에서 황갈색으로 변하고,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빨리 제거하여 불에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는다.
○ 포장을 청결히 하고 잎에 물방울이 장시간 맺혀 있지 않도록 관리한다.
○ 환기를 철저히 하고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 한다.



노균병 ( 상추 )

발생환경
○ 병원균은 직접 잎 표면의 각피를 뚫고 침입하며, 가끔 기공을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 적당한 환경에서는 3시간 이내에 침입이 이루어지며, 세포 간극에서 흡기를 내어 기주세포의 영양을 흡수한다.
○ 종자전염 가능성은 거의 없고, 병든 식물체내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낸 후 다시 1차전염원으로 활동한다.
○ 포자낭은 공기속으로 떠다니며 건전 식물체로 쉽게 전반되는데, 상대습도와 온도가 병원균의 침입과 전반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증상설명
○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처음에는 잎 표면에 부정형의 퇴록반점이 생기며, 담황색을 띠는데, 주로 아랫잎부터 발생된다.
○ 병이 진전되면 병반은 합쳐지고, 잎 뒷면에 흰 균사체로 보이는 많은 유주자낭을 형성하게 된다.
○ 병든 잎은 잎끝에서부터 갈색으로 변하여 썩고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하여 불에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는다.
○ 포장을 청결히 하고 잎에 물방울이 장시간 맺혀 있지 않도록 관리한다.
○ 환기를 철저히 하고 토양이 과습하지 않



노균병 ( 시금치 )

발생환경
○ 병원균은 종자나 병든 식물체에서 균사로 월동하며, 땅속에서는 주로 난포자로 월동한다.
○ 식물체에서 포자낭을 형성하는 온도 범위는 8~13℃이며, 포자낭의 발아 온도범위는 3~30℃이다.
○ 다른 채소 작물에 발생하는 노균병과 마찬가지로 시설재배에서 발생이 많으며, 저온 (5~10℃)과 다습(상대 습도 95% 이상) 환경이 발병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증상설명
○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노지재배보다 시설재배에서 발생이 더 심하다.
○ 잎의 표면에 부정형의 황색 반점이 희미하게 퍼지고, 뒷면에는 회색 혹은 연보라색의 곰팡이 균체가 보인다.
○ 병반은 점점 커져 잎 전체에 퍼지고, 암갈색으로 변해 말라죽는다.
○ 심한 경우에는 포기 전체가 죽기도 하는데, 포장이 과습하면 잎이 수침상으로 보이다가 신속히 황색으로 변한 다음 갈색으로 썩는다.

방제방법
○ 작물이 재배되지 않은 건전토양에서 육묘한다.
○ 육묘나 재배 중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침수되지 않도록 하고 배수를 철저히 하고, 환기를 잘 하여 잎에 물방울이 장시간 맺히지 않도록 해야한다.
○ 병든 포기는 뿌리주변 흙과 함께 조기에 제거하여 포장 밖으로 멀리 버리거나 땅 속 깊이 매몰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노균병 ( 청경채 )

발생환경
○ 병원균은 조균류의 일종으로 분생포자와 난포자를 형성한다.
○ 이 균은 살아있는 기주 세포만을 감염시키며, 절대기생균이다.
○ 전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포자는 4∼15℃에서 상대습도 100% 정도일 때 5∼7시간 만에 감염된 조직에서 형성된다.
○ 포자들은 보통 밤에 생성되고 낮에 새로운 식물체로 퍼진다.
○ 병든 식물체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월동 후 다시 1차 전염원으로 활동하며, 다시 발아하여 잎의 기공이나 수공으로 침입하여 세포간극에서 증식한다.
○ 저온 다습한 환경에서 발병이 잘되므로 잎에 물방울이 장시간 맺혀 있지 않도록 관리한다.

증상설명
○ 잎에 발생한다.
○ 초기에 연한 황색의 작은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고, 잎 뒷면에 하얀 곰팡이가 다량 형성된다.
○ 병반의 형태는 노균병 특유의 엽맥에 불명확한 다각형을 이루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잎 전체로 퍼지면서 황화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하여 소각처리 한다.
○ 시설내에서는 환기를 철저히 하고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과번무하지 않게 관리한다.



노균병 ( 파 )

발생환경
○ 백합과 채소에서만 발생한다.
○ 병원균은 주로 병든 식물체내에서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내는데, 마늘이나 양파의 인경에서도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병 발생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조건은 병원균의 밀도와 습도, 그리고 온도이다.
○ 상대습도가 96%이상 일 때 병원균은 유주자낭을 형성하며, 상대습도가 100%일 때 유주자낭은 발아하여 침입한다.
○ 병원균은 기주 식물체 표면에 물기가 2시간 이상 유지될 때 기공을 통해서 침입하는데, 침입 가능 온도 범위는 4~25℃이다.
○ 감염후 10~17일이 지난 후에 외부 병징이 나타난다.

증상설명
○ 주로 잎에 발생하며 이른 아침에 병 증상을 관찰하기가 용이하다.
○ 이슬이 아직 많이 남아 있을 때 자세히 관찰해 보면 희미한 회색 혹은 보라색의 줄무늬 병반 위에 보드라운 털 같은 병원균의 균사체가 관찰된다.
○ 병 증상은 작은 반점으로 시작되어 잎 전체로 퍼지는데 병든 잎은 심하게 구부러지며 뒤틀린다.
○ 잎은 초기에 녹색이 퇴색되고 진전되면 누렇게 변해 말라 죽는다.
○ 궂은 날이 계속되면 포장 전체로 번지기도 하나 맑은 날씨가 지속되면 새 잎이 돋아 나오며 회복된다.

방제방법
○ 병든 잎과 포기는 조기에 제거하여 불에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는다.
○ 포장을 청결히 하고 잎에 물방울이 장시간 맺혀 있지 않도록 관리한다.
○ 환기를 철저히 하고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 작물이 재배되지 않은 건전한 토양에서 육묘한다.
○ 육묘나 재배 중 토양이 오랜기간 과습하거나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고 물빼기를 철저히 한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