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병(열매)
-
■ 병명 : 녹병(열매)
■ 영문명 : Rust
■ 대상식물 : 대추, 콩, 포도
녹병 ( 대추 )
■ 발생환경
○ 주로 강우가 많은 7~8월에 발생이 많으며 해에 따라 발병정도가 매우 다르다.
○ 병원균의 전염경로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증상설명
○ 주로 잎에 발생하며 심하면 잎자루에도 발생한다.
○ 잎의 표면에 갈색의 소형반점이 형성되며 점차 커지면서 잎 뒷면에는 융기된 갈색점(하포자층)이 형성되고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죽어 낙엽된다.
■ 방제방법
○ 병든 잎을 모아 불태우고 포장위생 관리를 청결히 한다.
○ 발병이 많은 시기에 적용약제로 집중 방제한다.
녹병 ( 콩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동포자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 후 발아하여 제 1차 전염원이 되나, 온난한 지역에서는 하포자의 형태로 월동할 수 있다.
○ 병원균의 하포자 발아 온도범위는 8~30℃이고, 발아 최적온도는 20℃이다.
○ 병원균의 최적 감염 온도범위는 18~21℃이다.
■ 증상설명
○ 잎, 줄기, 꼬투리에 발생하며, 특히 잎 뒷면에 병반이 많이 발생한다.
○ 식물체의 감염부위에 처음에는 흰색의 소립 돌기가 생기고, 후에 이것이 점차 작은 혹처럼 부풀어 올라 표면이 찢어지면서 황색 내지 갈색의 하포자 덩어리가 형성된다.
○ 이 병반은 가을에 흑갈색으로 변하고, 후에 동포자 덩어리를 형성하게 된다.
○ 병든 잎은 위축되고, 일찍 말라 떨어지며, 병든 줄기와 꼬투리는 변색되어 말라죽는다.
○ 심하게 병든 식물체는 전체적으로 말라죽는다.
■ 방제방법
○ 이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병든 식물체를 일찍 제거하여 불에 태워버린다.
○ 등록된 방제 약제는 없다.
녹병 ( 포도 )
■ 발생환경
○ 병든 부위에서 동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하포자 상태로도 겨울을 지낸다.
○ 동포자는 익년 봄에 소생자를 형성, 바람에 날려 전반된다.
○ 5월경에 잎에 형성된 하포자가 6월 하순에 감염되어, 여기에서 형성된 하포자에 의해 2차감염이 이루어지며, 특히 8월의 기상이 고온건조한 해에 발생이 심하다.
■ 증상설명
○ 주로 잎에 발생하며, 9월경 발병하여 10월 이후에 심해진다.
○ 발병 초기에는 황색의 소반점이 생겨 다수 병반이 융합되면 황색 병반으로 된다.
○ 잎 뒷면에는 직경은 0.1~0.2㎜의 등황색, 가루모양의 하포자층이 형성된다.
○ 늦 가을에는 황색 가루모양의 물질이 소실되고, 흑갈색의 다각형 반점이 나타나며, 심하면 조기에 낙엽된다.
■ 방제방법
○ 병든 잎을 모아서 땅속에 묻거나 불에 태워 과원에 병원균의 밀도가 맞도록 관리한다.
○ 햇빛과 바람의 소통이 불량한 과원에서 심하므로 전정과 순치기로 나무관리에 유의한다.
○ 발병이 상당히 진전되고 나서 약제를 살포하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6월 중순 초기 단계부터 10~15일 간격으로 등록 약제로 방제해야 한다.
○ 병원균 침입부위인 잎 뒷면에 충분한 약제가 묻도록 골고루 살포한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