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의 정석

재배의 정석

주의해야하는 식물 병해

잎집무늬마름병

​병명 : 잎집무늬마름병

영문명 : Sheath blight

대상식물 : 논벼, 생강, 수수, 옥수수



잎집무늬마름병 ( 논벼 )

발생환경
○ 토양이나 볏짚, 그루터기에서 겨울을 지난 균핵이 모내기 전 물을 대고 경운 및 써레질을 하면 물위로 떠오르게 되고 모내기가 끝나면 잎과 잎집사이에 붙게 된다.
○ 본 병의 발생과 피해는 병원균의 밀도, 생육 기간 중의 기상조건, 특히, 온도와 습도, 비배관리와 경종적인 방법에 의하여 크게 달라진다.
○ 병원균이 벼의 조직으로 침입 가능한 온도는 22~35℃이고 최적온도는 30~32℃이며, 습도는 포기사이의 습도가 96%이상의 상태로 지속되면 발병이 많아진다.
○ 또한 질소질 비료는 수량을 높이는 데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많게 되면 여러 가지 면에서 해를 입게 된다.
○ 즉,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면 벼가 왕성한 생육을 하게 되는데 특징적으로는 키가 커지고 분얼수가 많아 포기사이가 빽빽하게 된다.
○ 이때에 벌어진 포기와 늘어진 잎들에 의하여 통풍이 억제되므로 자연히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병 발생에 좋은조건이 된다.
○ 이외에도 재식밀도, 재배시기 및 품종들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증상설명
○ 처음에는 잎집에 병반이 나타나는데 물에 데친 것처럼 수침상의 타원형에서 암녹색으로 확대되면서 병반 주위가 연한 갈색으로 변한다.
○ 병반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7월 하순~8월 상순에 대부분 균핵을 형성하며 벼가 자라면서 병반이 점차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2차 전염은 잎집에 형성된 병반에서 나오는 균사에 의해 옆에 있는 줄기나 포기, 또는 잎에 새로운 병반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재배적 방제
○ 지나친 밀식이나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지 말아야 한다.
○ 모내기 전 써레질 후 논 구석에 몰려 떠있는 균핵을 수거하여 소각한다.
○ 통풍을 좋게 하고 조기이앙을 피한다.
○ 약제 방제
○ 등록약제로 적기방제한다.



잎집무늬마름병 ( 생강 )

발생환경
○ 병원균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AG-2-2(ⅢB)와 AG-5이다.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월동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 된다

증상설명
○ 잎집에 타원형의 반점 혹은 얼룩무늬증상으로 나타나며, 병반의 가장자리는 갈색을 띠고, 내부는 회색 내지 회갈색을 띤다.
○ 병이 진전되면 잎집이 누렇게 변해 마른다.

방제방법
○ 재배시 균형시비(均衡施肥)를 한다.
○ 병발생이 심한 포장은 다른 비기주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잎집무늬마름병 ( 수수 )

발생환경
○ 균핵의 형태로 토양에서 오랫동안 생존한다.
○ 병든 식물체와 오염된 토양 등을 통해서 전염을 하며, 직접 침입하기도 한다.
○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생이 잘 되며, 바람이 잘통하지 못하면 병이 빠르게 진전된다.

증상설명
○ 문고병(紋枯病)이라고도 불린다.
○ 주로 지하부에 나타나며 땅가에 접한 바깥잎 부근으로부터의 부패 등이 나타난다.
○ 처음에는 잎집에 타원형 또는 부정형의 얼룩무늬 증상이 나타나며, 갈색의 균핵이 병무늬 표면에 형성된다.

방제방법
○ 다른 작물과 돌려짓기를 하며, 통풍이 잘되고,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잎집무늬마름병 ( 옥수수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 내에서 균사체와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겨울을 지낸 후 균핵으로부터 자라 나온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로부터 지상부를 침입하여 병을 일으킨다.
○ 이 병은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생이 잘되며, 여름철 장마기에 비가 자주 오고, 식물체가 무성하게 자라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병 진전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증상설명
○ 처음에는 잎집에 타원형 내지 부정형의 얼룩무늬 증상으로 나타나며, 병반의 가장자리는 담갈색 내지 갈색을 띠고, 내부는 회백색 내지 황백색을 띤다.
○ 병반은 6~7월에 식물체의 잎집 아래 부위에서 형성되고, 수확기까지 식물체의 위쪽으로 계속 진전되며, 후에 병반 표면에는 암갈색의 편구형 혹은 부정형 균핵이 형성된다.
○ 심하게 감염된 식물체의 잎집과 잎은 전부 말라죽고, 간혹 잎집 내 줄기에도 암갈색 부정형 병반이 크게 형성되고, 썩는 증상이 나타난다.

방제방법
○ 재배 포장의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식물체가 너무 밀식하지 않게 재배한다.
○ 질소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칼리비료와 균형시비를 한다.
○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십자화과 등 다른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