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은썩음병
-
■ 병명 : 검은썩음병
■ 영문명 : Charcoal rot, Black rot, Alternaria fruit rot
■ 대상식물 : 가지, 감귤, 무, 배추, 양배추, 여주, 열무
검은썩음병 ( 가지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핵이나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균핵이 발아하거나 병포자를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 주로 노지재배 시 발생하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고온, 다습할 때 병 발생이 심하다.
■ 증상설명
○ 과실에는 처음에 부정형의 검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과실 대부분이 검게 변하면서 썩는다.
○ 감염부위에는 많은 병자각이 형성되어 검은 소립점으로 보인다.
■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한다.
○ 병든 과실은 일찍 제거한다.
○ 포장은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수확 후 포장을 청결하게 한다.
검은썩음병 ( 감귤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감귤의 죽은 조직이나 기타 다른 기질에 부생적으로 존재하면서 포자를 형성시켜 공기중으로 비산시키며 과실의 생육 기간 중 과정부 또는 꽃받침 속에 잠복해 있다가 과실에 열악한 환경, 즉 생리적 장해, 과숙, 일소, 건조, 서리 등에 의해, 그리고 수확 후 저장과실이 생리적 소모가 많아짐에 따라 과실내부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킨다.
○ 주 침입 경로는 과경지나 과정부의 균열을 통하여 주로 침입하지만 또한 과실에 상처가 있을 때에도 병 발생이 용이하다.
■ 증상설명
○ 온주 밀감에서는 처음에 암갈색 또는 흑갈색의 약간 들어간 수침상을 형성하거나, 검정색 또는 흑녹색의 솜털과 같은 균사들로 뒤덮힌 병반을 형성하며 이때 과실을 쪼개보면 과실 내부는 부패하여 까만 균사와 포자로 가득 차 있다.
○ 이러한 증상들은 주로 과정부 또는 과경부를 중심으로 발생하지만 적도면 등 과실 표면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이 될 수 있다.
○ 과경부 또는 과정부로부터 병원균이 침입하는 경우 내부가 우선적으로 부패하기 때문에 과실 표면은 외견상 건전해 보여도 과실 내부가 부패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방제방법
○ 저장 전 예조를 충분히 행하고 저장조건을 잘 맞추어 줌으로써 저장과실의 생리적 소모가 적도록 하며 특히 저장 중 과습하지 않도록 환기를 철저히 해야한다.
○ 전정가위나 바람, 곤충에 의한 상처과들은 병 발생이 쉽기 때문에 저장과로 쓰지 않도록 해야한다.
검은썩음병 ( 무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殘滓)나 종자속에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된다.
○ 병든 잎을 냉동시키거나 데시게이터 속에 저장하면 병원균은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12개월 이상 생존할 수 있지만 토양속에서는 독립적으로 생존하지 못한다.
○ 병원균은 주로 수공(水孔)을 통해 침입하거나 곤충의 식흔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여 관다발조직까지 침입한다.
○ 떡잎에서는 기공을 통해 침입한다.
○ 병원균의 전반(傳搬)은 비바람, 농기구 등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며, 곤충의 유충에 의해서도 전반된다.
■ 증상설명
○ 잎, 잎자루, 뿌리에 발생한다.
○ 잎에서는 가장자리로부터 엽맥(葉脈)을 따라 암갈색 내지 흑색의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고, 병반의 주위는 황색을 띠면서 차차 안쪽으로 확대되어 마치 V자 모양의 병반을 형성한다.
○ 심하게 감염된 잎은 흑갈색으로 변해 말라죽는다.
○ 병든 뿌리의 도관은 검게 변해 썩으며, 뿌리가 자람에 따라서 후에 중심부가 소실되고, 짙은 흑갈색의 공동(空洞)이 생기며, 악취는 나지 않는다.
■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거나 55℃에서 5분간 온탕침지한다.
○ 해충을 제거하여 식물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 필요시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검은썩음병 ( 배추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물이나 종자속에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된다.
○ 병든 잎을 냉동시키거나 데시게이터 속에 저장하면 병원균은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12개월 이상 생존할 수 있지만 토양속에서는 독립적으로 생존하지 못한다.
○ 병원균은 주로 수공을 통해 침입하거나 곤충의 식흔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여 관다발 조직까지 침입한다.
○ 떡잎에서는 기공을 통해 침입한다.
○ 병원균의 전반은 비, 바람, 농기구 등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며, 곤충의 유충에 의해서도 전반된다.
■ 증상설명
○ 처음에는 잎 가장자리가 황색으로 변하고, 엽맥이 흑색으로 변한다.
○ 진전되면 담황색 부정형 반점으로 나타나고, 잎의 아래쪽으로 진전되면서 잎이 흑황색 내지 흑색으로 변하면서 마른다.
○ 심하게 감염된 잎은 전체적으로 말라 죽는다.
○ 뿌리가 감염되면 유관속이 흑색으로 변하고 지상부가 시들어 죽는다.
■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거나 55℃에서 5분간 온탕침지한다.
○ 해충을 제거하여 식물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검은썩음병 ( 양배추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殘滓)나 종자속에서 월동하여 다음해 1차전염원이 된다.
○ 병든 잎을 냉동시키거나 데시게이터 속에 저장하면 병원균은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12개월 이상 생존할 수 있지만 토양속에서는 독립적으로 생존하지 못한다.
○ 병원균은 주로 수공(水孔)을 통해 침입하거나 곤충의 식흔(痕)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여 관다발조직까지 침입한다.
○ 떡잎에서는 기공을 통해 침입한다.
○ 병원균의 전반(傳搬)은 비바람, 농기구 등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며, 곤충의 유충에 의해서도 전반된다.
■ 증상설명
○ 전 생육기간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 가장자리에서 엽맥을 중심으로 V자형으로 황색의 부정형 병반이 형성된다.
○ 진전되면 병반이 안쪽으로 확대되고, 병반내의 잎맥은 흑색을 띠게 된다.
○ 심하게 감염된 잎은 말라죽는다.
○ 줄기가 감염되면 도관부가 흑색으로 변한다.
■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거나 55℃에서 5분간 온탕침지한다.
○ 해충을 제거하여 식물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검은썩음병 ( 여주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자각의 형태로 병든 잎의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이듬해의 전염원이 되며, 병징부분의 병자각에서 나온 병포자가 바람에 날려 1차 병반을 만든다.
○ 2차 전염은 새로 생긴 병반에서 알맞은 온·습도가 되면 병자각에서 병포자가 분출하고 빗물이나 바람에 의해 같은 방법으로 전염을 일으킨다.
■ 증상설명
○ 열매에 발생하며, 발병된 열매는 끝에서부터 위쪽으로 마르고, 썩어 올라간다.
○ 발병초기 과실의 끝부분에서 작고, 수침상의 병반이 나타나게 되는데, 병원균에 감염된 열매는 곡과형태로 변형되고 검은색의 반점이 곳곳에 발생한다.
○ 검은색 반점은 병자각으로 무수히 많은 병포자를 가지고 있어 과습조건에서 방출된다.
○ 병징은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주로 8월 수확기에 가장 많이 형성된다.
■ 방제방법
○ 생육기중 병든 과실은 발견 즉시 제거하고 소각한다.
○ 재배중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게 한다.
○ 발병 초기부터 계통이 다른 약제를 교호로 살포한다.
검은썩음병 ( 열무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나 종자 속에서 월동하여 다음해 1차전염원이 된다.
○ 병든 잎을 냉동시키거나 건조기 속에 저장하면 병원균은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다.
○ 실내에서 12개월 이상 생존할 수 있지만 토양 속에서는 독립적으로 생존하지 못한다.
○ 병원균은 주로 수공을 통해 침입하거나 곤충의 식흔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여 관다발조직까지 침입한다.
○ 떡잎에서는 기공을 통해 침입한다.
○ 병원균의 전반은 비바람, 농기구 등에 의해 주로 이루어진다.
○ 곤충의 유충에 의해서도 전반된다.
■ 증상설명
○ 생육기간 동안 식물체에서 관찰된다.
○ 처음에는 식물체 지상부에서 관찰되며, 잎 가장자리가 황색으로 변한다.
○ 진전되면 담황색 부정형 반점으로 나타나고, 잎의 아래쪽으로 진전되면서 잎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마른다.
○ 심하게 감염된 잎은 전체적으로 말라죽는다.
○ 뿌리가 감염되면 유관속이 흑색으로 변하고 지상부가 시들어 죽는다.
■ 방제방법
○ 무병종자를 사용한다.
○ 병이 발생되지 않았던 포장에서 재배한다.
○ 윤작으로 병원균 밀도를 줄인다.
○ 해충을 제거하여 식물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 현재까지 검은썩음병 방제를 위한 작물보호제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