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자이크병(잎줄기)
-
■ 병명 : 모자이크병(잎줄기)
■ 영문명 : Mosaic
■ 대상식물 : 갓, 배추, 상추, 시금치, 쑥갓
모자이크병 ( 갓 )
■ 발생환경
○ CMV(오이모자잌바이러스)는 토마토, 가지, 고추, 오이, 참외, 멜론, 상추 등 기주범위가 넓기 때문에 전염원(傳染源)은 어느 포장에나 있으며, CMV는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전염(非永續傳染)을 하기 때문에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 TuMV는 인공접종에 의하여 즙액전염이 잘되며, 복숭아혹진딧물은 TuMV를 전염시키는데 5분간 병든 식물을 흡즙(吸汁)해도 바이러스 획득율(獲得率)이 80%이며, 바이러스 획득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매개충의 바이러스 전염원은 떨어지므로 계속 접종을 할 경우 1시간 후 33%, 5시간 후면 전염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 병의 전염에는 무시충(無翅蟲)보다 유시충(有翅蟲)이 더 관련되어 있다.
○ 보독(保毒)진딧물에서 태어난 새끼진딧물은 보독이 되지 않으나 복숭아혹진딧물은 태어나서 3일이 되면 병을 옮길 수 있게 된다.
○ 토양전염이나 종자전염은 되지 않으며, 4월부터 발생하여 수확기인 10월까지 계속 발생한다.
○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가 병징이 심하여 장기간 계속 재배할 경우 주위에 전염원이 많아진다.
○ 그 외에도 시금치, 쑥갓, 화초, 잡초 등이 전염원이 된다.
○ RVCV는 국내에서 일부 지역에서만 한정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십자화과 채소 중에서도 무에서만 발생하고 있다.
■ 증상설명
○ 잎에 초기에는 퇴록반점(退綠斑點)이 일부 나타나며, 진전되면 엽맥투명(葉脈透明)과 모자이크로 나타난다.
○ 유묘가 감염(感染)되면, 잎이 엽맥녹대(葉脈錄帶)와 기형(奇形)이 되고, 줄기에서는 괴사줄무늬가 나타난다.
○ 포기 전체는 위축(萎縮)되고, 축엽(縮葉)되어 상품 가치를 잃게된다.
○
■ 방제방법
○ 유채, 무, 배추, 시금치, 쑥갓, 참깨 등에서 자연발병이 되므로 계속하여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유묘 단계에서 2차 바이러스 전염원이 되는 병든 포기를 제거한다.
○ 진딧물에 의해 주로 전염되므로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염원이 되는 십자화과 잡초를 제거한다.
모자이크병 ( 배추 )
■ 발생환경
○ CMV는 토마토, 가지, 고추, 오이, 참외, 멜론, 상추 등 기주범위가 넓기 때문에 전염원은 어느 포장에나 있으며, CMV는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전염을 하기 때문에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 TuMV는 인공접종에 의하여 즙액전염이 잘되며, 복숭아혹진딧물은 TuMV를 전염시키는데 5분간 병든 식물을 흡즙해도 바이러스 획득율이 80%이며, 바이러스 획득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매개충의 바이러스 전염원은 떨어지므로 계속 접종을 할 경우 1시간 후 33%, 5시간 후면 전염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 병의 전염에는 무시충보다 유시충이 더 관련되어 있다.
○ 보독진딧물에서 태어난 새끼진딧물은 보독이 되지 않으나 복숭아혹진딧물은 태어나서 3일이 되면 병을 옮길 수 있게 된다.
○ 토양전염이나 종자전염은 되지 않으며, 4월부터 발생하여 수확기인 10월까지 계속 발생한다.
○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가 병징이 심하여, 장기간 계속 재배할 경우 주위에 전염원이 많아진다.
○ 그 외에도 시금치, 쑥갓, 화초, 잡초 등이 전염원이 된다.
○ RVCV는 국내에서 일부 지역에서만 한정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십자화과 채소 중에서도 무에서만 발생하고 있다.
■ 증상설명
○ 3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모자이크증상으로 나타나지만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서 병 증상이 약간씩 다르다.
○ CMV에 감염된 잎은 미약한 모자이크 및 축엽으로 나타난다.
○ RMV는 잎이나 줄기에 괴저반점으로 나타나고, 결구의 내부까지 진전되어 대부분이 썩게 된다.
○ TuMV는 결구종의 배추에서는 외부잎에서 모자이크가 나타나지만, 속잎에서는 황색 또는 백색 모자이크는 나타나지 않고, 괴저반점으로 나타난다.
○ 결구종이 아닌 배추 품종에서는 거의 괴저반점이 나타나지 않고, 모자이크 병반으로 뚜렷하게 나타난다.
■ 방제방법
○ CMV 방제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재배한다.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옮겨심기 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 RMV 방제
○ 배추를 연속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종자 소독을 철저히 한 후 파종한다.
○ 오염 토양, 옷,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 옮겨심기, 수확 등 작업 시에 전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손을 닦아야 한다.
○ 전염원으로부터 격리된 지역에서 재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 TuMV 방제
○ 유채, 무, 배추, 시금치, 쑥갓, 참깨 등에서 자연발병이 되므로 계속하여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어린묘 단계에서 2차 바이러스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체를 제거한다.
○ 진딧물에 의해 주로 전염되므로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염원이 되는 배추과 잡초를 제거한다.
모자이크병 ( 상추 )
■ 발생환경
○ 종자전염, 즙액전염 및 진딧물에 의해서 전염이 된다.
○ 국내의 전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상추에서만 병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
■ 증상설명
○ 병 증상은 분별하기 어려우나, 병든주는 건전주와 비교해 생육이 떨어지고, 전체적으로 잎을 보면 잎의 녹색이 엷어지거나 황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
■ 방제방법
○ 종자 소독을 철저히 한 후 파종한다.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모자이크병 ( 시금치 )
■ 발생환경
○ CMV는 토마토, 가지, 고추, 오이, 참외, 멜론, 상추 등 기주범위가 넓기 때문에 전염원(傳染源)은 어느 포장에나 있으며, CMV는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전염(非永續傳染)을 하기 때문에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 증상설명
○ 엽맥과 엽맥사이의 녹색이 퇴색되어 모자이크로 나타난다.
○ 심하면 그루 전체가 황화(黃化) 또는 위축(萎縮)되기도 한다.
■ 방제방법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옮겨심기 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모자이크병 ( 쑥갓 )
■ 발생환경
○ CMV ; 무모자이크병 참조. WMV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19종의 진딧물이 옮기며, 비영속형전염을 한다.
○ 또한 즙액전염을 하므로 상처부위가 접촉될 때도 전염이 된다.
○ 획득 흡즙시간은 30초이며, 진딧물의 보독기간은 5시간이고, 1시간 정도 지나면 50%이하로 전염율(傳染率)이 떨어진다.
○ WMV의 1차전염원은 병든 식물의 유체(遺體)에서 비롯되는데, 최근에는 작물이 시설하우스내에서 연중 재배되고 있으므로 전염원은 항상 존재하고 있다.
○ 이 병은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 종의 콩과 작물에서 자연발생이 잘 된다.
■ 증상설명
○ 2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된다.
○ CMV에 의한 증상은 잎에 명료한 황색의 모자이크로 나타난다.
○ TuMV에 의한 증상은 잎에 처음에는 황색반점(黃色斑點)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황색의 모자이크로 변하며, 심하면 잎이 위축(萎縮)되고, 기형(奇形)이 된다.
■ 방제방법
○ CMV 방제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옮겨심기 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 TuMV 방제
○ 유채, 무, 배추, 시금치, 쑥갓, 참깨 등에서 자연발병이 되므로 계속하여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유묘 단계에서 2차 바이러스 전염원이 되는 이병주를 제거한다.
○ 진딧물에 의해 주로 전염되므로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염원이 되는 배추과 잡초를 제거한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