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의 정석

재배의 정석

주의해야하는 식물 병해

갈색점무늬병

​병명 : 갈색점무늬병

영문명 : Brown leaf spot

대상식물 : 감초, 고추, 둥글레, 머위, 참다래(키위,다래), 호두나무



갈색점무늬병 ( 감초 )

발생환경
○ 병자각과 병포자를 형성한다.
○ 병자각은 암갈색을 띠고, 내부에는 병포자가 많이 형성되어 있다.

증상설명
○ 발병 초기에는 갈색의 소형반점이 형성되나, 오래된 병반은 점점 확대되어 커지고 담갈색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확대되며, 병반이 융합되어 찢어지게 되고 조기 낙엽이 지게 되며 총체벌레 피해가 함께 발생하면 잎이 정상적으로 커지지 못하고 오그라들게 된다.

방제방법
○ 발병초기에 감초 갈색점무늬병에 등록약제를 살포하여 병의 확산을 막도록 한다.



갈색점무늬병 ( 고추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조직에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 여름에서 가을까지 고온,다습한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 잎, 잎자루, 과경, 가지에 발생한다.
○ 잎에서는 처음에 흰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원형의 둥근 갈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 병반의 안쪽에는 눈동자와 같은 작은 원형병반이 한 개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겹무늬반점으로 보인다.
○ 병반의 모양이 개구리눈과 닮았다 하여 일명 개구리눈무늬병이라고도 불린다.
○ 심하게 감염된 잎은 마르고 잘 떨어진다.
○ 잎자루와 과경 및 가지에서는 암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 반점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일찍 제거한다.
○ 고온 시 비료가 부족하면 많이 발생하므로 비료주기에 유의한다.
○ 병 발생 초기에 등록약제를 사용방법에 따라 살포한다.



갈색점무늬병 ( 둥글레 )

발생환경
○ 6월 상순부터 잎에 병반이 1∼2개씩 발생하기 시작하며, 심할 경우 잎당 병반수가 20개 정로로 심하게 발생한다.
○ 병반부위에 형성된 병자각이 다음해 2차 전염원 역할을 한다.
○ 생육중기 이후에 밀식으로 통풍과 채광이 좋지 않은 포장에서 병 발생이 심하고 연못 주변에 적당한 습도조건과 큰 나무 밑에 재배되면 차광으로 더욱 심하게 발생한다.

증상설명
○ 잎에 발생하며, 처음 잎에 적갈색의 작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점무늬 병반이 생기고, 점차 확대되어 담갈색으로 되어 주위에 검은 갈색이 선명하게 나타나며, 병반 가운데에 검은색의 작은 병자각이 다수 형성된다.
○ 오래된 병반부의 윗부분은 가운데에 구멍이 뚫리며, 병든 잎은 황화되고 심하게 발생할 경우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이병주를 제거하여, 포장내 있는 전염원을 제거한다.
○ 밀식을 피하여 채광을 좋게 한다.



갈색점무늬병 ( 머위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병반에 형성돈 병자각으로 월동하여 이듬해 전염원이 된다.
○ 겨울철 시설항스의 환기가 불량해지는 시기에 과습한 조건에서 발병이 시작되고 초기에 발병된 갈색점무늬병은 4월 중순 발병이 시작되어 5월 하순까지 지속된다.
○ 특히 3월~4월 중 비가 잦은 시기에는 발병량이 증가하여 전반되거나 늘어난다.
○ 기온이 높아질수록 발병은 줄어든다.
○ 여름 휴작기를 지낸 머위에서의 발생은 봄철보다 매우 적고 10월 이후부터 발병이 점차 증가한다.

증상설명
○ 주로 잎에 발생하는데, 갈색의 작은 점무늬로 시작되며 점차 진전되면 담갈색의 불규칙한 병반으로 확대된다.
○ 심한 경우 확대된 병반은 유합되어 거대한 잎마름 증상이 되기도 한다.
○ 병반이 오래되면 그 위에 작은 크기의 병자각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발병된 잎은 신속하게 제거하여 전염원이 되지 않도록 하며 겨울철 시설재배지의 환기에 주의하여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 등록된 약제는 없느나 현재 등록 중이다.



갈색점무늬병 ( 참다래(키위,다래) )

발생환경
○ 포자층에서 분출된 분생포자가 빗물에 의하여 전반, 주로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 병 발생이 적어 큰 피해는 없다.

증상설명
○ 잎에 발생한다.
○ 처음에는 갈색 또는 회갈색의 작은 점무늬가 형성되고, 점차 커지면서 직경2~3㎝의 병반으로 확대된다.
○ 심하면 병반이 찢어져 지저분해지고, 병반 중앙에는 흑색의 포자층이 밀생한다.

방제방법
○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고 병든 잎은 모아서 불 태운다



갈색점무늬병 ( 호두나무 )

발생환경
○ 병든 부위에서 균사의 형태로 월동 후 분생포자를 비산하여 공기전염 한다.

증상설명
○ 잎에 갈색, 원형 내지 부정형의 반점으로 나타나며, 심하게 진전되면 잎이 찢어지고 말라 죽는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