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균핵병(화훼)
-
■ 병명 : 균핵병(화훼)
■ 영문명 : Sclerotinia rot, Sclerotinia twig blight
■ 대상식물 : 거베라, 국화, 금어초, 꽃양배추, 스토크
균핵병 ( 거베라 )
■ 발생환경
○ 균핵으로 월동하며 봄에 자낭반을 형성하고, 자낭포자를 비산하여 전염한다.
○ 발병적온은 20℃ 내외이다.
■ 증상설명
○ 줄기가 갈변하여 시들고, 습기가 많은 조건에서는 흰 균사가 줄기에 붙어 자란다.
○ 병이 많이 진전된 부위에서는 부정형의 큰 흑색 균핵이 형성된다.
○ 이병 식물체는 전체가 시들고, 고사한다.
■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을 깊이 파서 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물 가두기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화본과 등 다른 비 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균핵병 ( 국화 )
■ 발생환경
○ 균핵(菌核)으로 월동(越冬)하며 봄에 자낭반(子囊盤)을 형성하고, 자낭포자를 비산(飛散)하여 전염한다.
○ 발병적온(發病適溫)은 20℃ 내외이다.
■ 증상설명
○ 줄기의 지제부위(地際部位)에서부터 변색이 이루어지고, 부정형의 대형 암갈색 반점을 형성한다.
○ 병반은 줄기의 중도부위(中途部位)에서도 나타나는데, 주로 가지의 분기점이나 엽병(葉柄)의 기부(基部)에서 비롯된다.
○ 진전되면 줄기가 시들고, 마른 상태로 썩으며 쪼개진다.
○ 이병부위(罹病部位)에서는 흰색의 균사가 자라고, 흑색의 큰 부정형 균핵(菌核)이 줄기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다.
균핵병 ( 금어초 )
■ 발생환경
○ 균핵(菌核)의 형태로 월동(越冬)하며, 균사신장(菌絲伸長) 또는 자낭포자의 비산에 의해 전염된다.
○ 감염적온(感染適溫)은 20℃내외이며, 균핵(菌核)은 지표면에서 2년 이상 생존한다.
■ 증상설명
○ 줄기의 지제부위(地際部位) 및 중간부위(中間部位)가 이병(罹病)되어 전 식물체가 시든다.
○ 이병식물체(罹病植物體)의 줄기는 변색되며, 내외부에 균사(菌絲)가 자라고 흑색의 균핵(菌核)을 형성한다.
균핵병 ( 꽃양배추 )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거나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낸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 증상설명
○ 줄기, 잎, 꽃, 꽃자루에 발생한다.
○ 줄기에서는 지제부가 약간 무른 상태로 썩으면서 흰 균사가 자라고,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 식물체의 기타 부위에서도 무른 상태로 썩으면서 흰 균사가 자라고,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低溫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정식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무멀칭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담수(湛水)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균핵병 ( 스토크 )
■ 발생환경
○ 균핵병은 겨울철 하우스재배에서 심하면 약 20% 정도 발생하며 과습하고 환기가 불량할 때 피해가 크다.
○ 병원균은 균핵이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이나 토양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되는 토양 병원균으로 환경이 좋아지면 균핵이 발아하여 흰색의 균사를 뻗어 식물체에 침입한다.
○ 병 발생은 12월~1월, 비교적 저온기에 하우스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데, 5월 이후에는 병의 발생이 정지된다.
○ 감염된 묘상에서 자란 묘가 다른 포장에 재식될 때 전염되며 농기계에 묻은 흙에 의해서도 다른 포장으로 전반될 수 있다.
■ 증상설명
○ 뿌리와 줄기에 주로 발생하여 줄기 괴사와 잎에 시듦 증상을 일으키므로 수확 전에 죽는다.
○ 발병 초기에는 지하부 줄기에 회백색의 균사가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 뿌리와 줄기가 썩는다.
○ 심하면 지하부 줄기에 흑색의 균핵이 형성되며 지상부는 위축되어 자라지 못하고 누렇게 변색된다.
○ 심하면 그루 전체가 말라 죽는다.
○ 특히 상대습도가 높은 곳에서 관찰된다.
■ 방제방법
○ 답전윤환이 가능한 지역이나 이모작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벼를 재배하면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 병든 포기는 일찍 제거하여 다른 포장으로 확산을 방지한다.
○ 이 병은 대표적인 토양 전염성 병해이므로 작업 시 농기계에 의해 병든 흙이 건전포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작업기구를 깨끗이 씻는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