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의 정석

재배의 정석

주의해야하는 식물 병해

겉깜부기병

​병명 : 겉깜부기병

영문명 : Loose kernel smut

대상식물 : 보리, 수수



겉깜부기병 ( 보리 )

발생환경
○ 겉깜부기병균은 종자의 배에서 휴면 균사체로 생존한다.
○ 감염종자가 발아하면 병원균도 발아하여 경정부위로 이동하고, 종자 원기에 도달한다.
○ 모든 이삭조직은 후막포자로 전환된다.
○ 후막포자는 보리 개화기에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주두와 자방벽을 침입한다.
○ 균사체는 세포사이로 퍼져나가며 주로 배반조직에 존재한다.
○ 개화기 중 상대습도가 높고 16~22℃의 온도가 유지되면 균의 포자 발아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개화기간을 증가시켜 포자가 화기조직과 접촉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므로 서 균의 침입을 쉽게 한다.

증상설명
○ 깜부기병은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이 있다.
○ 겉깜부기병은 출수 직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 전염한다.
○ 출수기와 성숙기사이에 뚜렷하여 처음 발병된 이삭은 검게 되고 건전한 이삭들 사이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다.
○ 심하게 감염된 이삭은 건전한 이삭보다 다소 빨리 출수하는 경향이다.
○ 병에 걸린 씨알은 처음 회색의 얇은 피막에 싸여 있다.
○ 이 후 피막이 찢기고 속의 후막포자가 비산하면 수일 내에 이삭의 축만이 남는다.

방제방법
○ 적용약제로 종자분의 처리한다.



겉깜부기병 ( 수수 )

발생환경
○ 이삭 패는 식 이후 발생하며 검댕이로 덮여있는 낟알은 처음에는 담회색의 막으로 덮여 있지만 이 막은 곧 터지고 가루 형태의 포자들이 노출되며 포자들은 바람에 날린다.
○ 거두기 할 때 감염되지 않는 낟알에까지 스며들어가 품질을 떨어뜨린다.
○ 병원균은 감염된 낮당렝서 휴면균사 상태로 겨울나기를 한다.
○ 균사는 식물체의 생장점에 근접하여 식물체와 같이 자라며 이삭 패는 시기의 균사는 어린 낟알에 침임한 후 세포 간극에서 자란다.
○ 포자 방출 시기는 건전한 식물에서 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하며 균사가 암술머리나 어린 씨방의 벽을 통하여 꽃으로 침입하여 낟알이 성숙하기 전에 열매껍질이나 씨눈의 조직내에 자리를 잡는다.

증상설명
○ 대체로 감연된 개체는 건전한 개체보다 먼저 이삭 패기를 하며 감염된 이삭은 건전한 이삭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 감염된 식물의 이삭에 검댕이가 묻어 있으며 모든 이삭과 낟알은 황록색의 홀씨(포자)들로 이루어진 깜부기 덩어리로 변하게 된다.

방제방법
○ 씨앗 온탕침지 등 씨앗소독을 철저히 하며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