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의 정석

재배의 정석

주의해야하는 식물 병해

잿빛곰팡이병(잎줄기)

​병명 : 잿빛곰팡이병(잎줄기)

영문명 : Gray mold

대상식물 : 상추, 샐러리, 아스파라거스, 참나물



잿빛곰팡이병 ( 상추 )

발생환경
○ 봄과 가을의 서늘한 기후와 시설재배지의 다습한 환경조건하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나 토양에서 균사 및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보내고 1차전염원이 된다.
○ 병의 발생적온은 20~25℃이다.

증상설명
○ 잎에 발생한다.
○ 처음에는 담갈색 수침상의 작은 병반이 형성되고, 급속히 확대되어 잎과 그루 전체가 부패한다.
○ 잎 끝부분에서 감염이 시작될 때는 잎이 갈색으로 오그라들고, 다른 잎으로 병이 전염된다.
○ 상추 밑둥부분의 병징에서는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되며, 병반상에는 항상 잿빛의 곰팡이가 밀생한다.

방제방법
○ 환기가 불량하거나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너무 밀식하지 말고 질소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 병든 잔재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잿빛곰팡이병 ( 샐러리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핵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된다.
○ 시설재배시 기온이 20℃내외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노지재배시는 여름철 장마기때 주로 발생한다.
○ 과실의 감염은 주로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시작되므로 과실이 커지면서 꽃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품종에서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 잎과 줄기에 발생한다.
○ 잎과 줄기에 처음에는 작은 수침상의 적갈색 병반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갈색 부정형의 대형병반으로 확대된다.
○ 심하면 잎과 줄기가 말라죽는다.
○ 병반상에는 잿빛의 곰팡이가 형성되고, 땅가부분의 줄기에는 흑색 균핵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실내의 온도와 습도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 병든 과일이나 잎은 제거하고 포장을 청결하게 한다.
○ 통풍과 투광을 좋게 한다.
○ 분생포자의 밀도증가가 매우 빠르므로 초기방제가 매우 중요하다.
○ 병원균의 약제내성이 매우 빠르므로 계통이 다른 등록약제를 번갈아 살포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잿빛곰팡이병 ( 아스파라거스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핵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된다.
○ 시설재배시 기온이 20℃내외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노지재배시는 여름철 장마기때 주로 발생한다.
○ 과실의 감염은 주로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시작되므로 과실이 커지면서 꽃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품종에서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 줄기에 발생한다.
○ 처음에는 줄기의 선단부 가지에 수침상의 소형 갈색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 중앙은 회갈색으로 변하고, 병반 주위는 흑갈색으로 변한다.
○ 심하게 감염되면 줄기가 마르고, 병반상에는 잿빛의 곰팡이가 밀생한다.

방제방법
○ 실내의 온도와 습도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 병든 과일이나 잎은 제거하고 포장을 청결하게 한다.
○ 통풍과 투광을 좋게 한다.
○ 분생포자의 밀도증가가 매우 빠르므로 초기방제가 매우 중요하다.



잿빛곰팡이병 ( 참나물 )

발생환경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월동하여 이듬해의 전염원이 된다.
○ 발아한 균사에서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최초의 병반을 만들고 그 이후는 새로 생긴 병반 표면의 분생포자에 의해 공기 전염한다.
○ 병원균은 포화습도 상태가 9시간 이상 지속될 때 발아하므로 시설재배나 장마철에 많이 발생하는 병해이다.
○ 이 병은 15~20℃의 저온에서 심하게 발생하며 일단 발생하면 조건이 맞을 경우 급속히 번져 피해가 크다.

증상설명
○ 주로 잎에 발생하는데 잎의 끝부분에서 안쪽으로 확산하는 삼각형의 병반이 생긴다.
○ 병반은 처음에는 수침상으로 진전되며 마르면 그 부위에 잿빛의 곰팡이가 생긴다.
○ 주로 습도가 높은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며 병원균은 저온성이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모두 모아 태우거나 토양 깊이 매몰하여 전염원을 제거한다.
○ 시설 안을 다습하지 않도록 하고 온도가 너무 낮디 않도록 관리한다.
○ 배수를 좋게 하여 밀식을 피하고 포기 사이에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하며 심한 발생이 우려되면 초기에 잿빛곰팡이병 전용 약제를 살포한다.

출처 :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병해충방제정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k/fixFarmTchSch.ps?menuId=PS04315